본문 바로가기
문화.여행 뿌수기

일본은 내년 봄부터 소규모 외국인 관광객 입국 허용

by 쏠하 2020. 12. 7.

일본도 겨울을 맞아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 증가가 줄지 않고 있는데 백신을 선구매했다는 소식과 함께 내년 봄부터는 소규모 외국인 관광객의 입국의 허용 방안을 논의 중이라는 소식이 들려오네요.

내년 봄부터는 코로나 상황이 좀 안정될 거라는 자신감이 있는 걸까요. 어쨌든 사방이 막힌 현 상황에서 백신과 함께 하늘길이 열릴 수 있다는 소식은 반갑기는 합니다. 

관련된 내용으로 어제 올라온 아사히 신문기사 첨부할게요. (급하게 한거라 의역, 오역 있을 수 있어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확대로 격감했던 인바운드(방일 외국인 여행객)의 회복을 위해, 정부는 내년 봄부터 해외에서 들어오는 소규모 분산형 투어를 받아들일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번 조치는 입국 금지 조치의 예외로 인정, 일반 관광객의 입국 완화는 내년을 목표로 도쿄올림픽·패럴림픽 후로 예정한다. 소규모 분상형 투어는 올림픽·패럴림픽과 그 이후를 위한 시범 실험이라고 평가한다.

각 투어가 1개 장소에 집중되지 않도록 방침을 정해, 여행자들은 전세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등의 감염방지책을 철저히 한다. 중국이나 대만 등 감염 상황이 안정되고 있는 아시아로부터의 입국을 상정하지만 실시 시기나 대상 지역은 국내외의 감염 상황을 지켜본 뒤 결정한다.

 

정부는 입국 후의 2주간 격리를 전제하고 전세계에서의 입국을 완화하고 있었지만 일반 관광객의 입국은 허용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관광국(JNTO)에 의하면, 비즈니스 관계자 등을 합해 10월 방일한 외국인은 전년대비 약 99% 감소, 13개월 연속으로 전년의 실적을 밑돌았다.

 

인바운드 추진은 스가 수상의 주요 정책으로 정부는 코로나 이후 「2030년에 방일관광객 6천만 명」의 목표를 견지한다. 한 편에서는 「관광객을 받아들여서 감염이 증가하면 올림픽과 패럴림픽이 열릴 수 없게 된다」(정부고위관계자)라고 하여 올림픽전에 올림픽 관련 투어 이외의 관광객의 입국은 허용해선 안된다. 올림픽 관객을 전 세계에서 받아들인 이후 일반 관광객의 입국을 받아들여 단계적으로 재개하는 것이 정부가 그려나갈 정책이다.

 

이를 위해 올림픽 전에 투어를 시행하면 정부의 감염방지책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목적이 있다. 정부는 올림픽·패럴림픽의 관객은 공공교통기관의 사용을 허가하는 방침으로 관광객에게 신칸센 등의 일반 차량을 사용하게 해서 검증하는 방안도 있다. 정부 관계자는 올림픽·패럴림픽의 관객과 일반관광객을 받아들이기 위해 학습을 얻는 기회로 삼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나앞으로의 감염 상황에 따라서는 예상대로 실시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투어의 최대 인원은 향후 결정된다. 감염 방지책은 단기 체류의 비즈니스 관계자를 입국 후 격리 없이 받아들이는 방법을 사용할 예정이다. 여행사를 두고 책임자와 안내원이 체온 검사 등의 건강관리를 철저히 한다.

 

관광객은 입국 전에 검사에서 음성을 확인하는 인증서 및 활동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하고 민간의료보험 가입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입국 후에는 대중교통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고, 관광지와 호텔에서 일반인과 접촉하지 않도록 이동 경로 등을 나눈다. 접촉 확인 응용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LINE으로 건강 상태도 보고 받는다.

 

정부는 지난 3일 관광 전략 실행 추진회의에서 "감염 확대 방지와 관광 수요 회복을 위한 정책 계획"을 결정, 인바운드의 회복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소규모 분산형 패키지 투어'를 담았다.

                                                                                                                                출처:아사히신문 디지털

 

 

訪日観光、来春にも実証実験検討 小規模、五輪後見据え:朝日新聞デジタル

 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感染拡大で激減したインバウンド(訪日外国人客)の回復をめざし、政府は来春にも、海外から小規模分散型のツアーを受け入れる検討に入った。入国禁止措置の例

www.asahi.com

 

요약해보자면, 일본 정부는 내년 올림픽과 패럴림픽 개최를 목표로 봄부터 소규모 관광객의 입국을 허용해서 상황을 지켜보려는 거 아닌가 싶어요. 코로나 상황이 안정화된 아시아 나라들부터 음성 확인서 소지자의 경우 입국을 허용해 감염 상황 통제 가능 여부를 시험해 보려는 거겠죠.

외국인 관광객의 입국 허용이 확진자 증가에 영향이 없다고 하면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개최하는데 힘이 실어지게 될테고 일반 관광객의 입국도 허용이 가능해지는 단계로 가겠죠. (그나저나 올림픽이 벌써 내년 여름인데 과연 정상적으로 개최가 될지도 궁금합니다. 비단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 각국에서 참가할 선수단들의 건강과 안전도 보장이 되어야 하니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상황이 가시적으로 안정이 되어야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싶어요.)

그리고 소규모 관광객 관련 입국 허가를 상정할 아시아 국가의 선별도 그렇지만 자국 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상황도 안정화가 되어야 실행될 수 있는 정책일 텐데 진행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긴 합니다. 

 

코로나 사태의 안정과 더불어 여행길이 열리길 기다리는 사람으로서는 나름 반가운 소식이긴 한데, 결국은 자국의 올림픽 개최를 위한 꼼수로 보이기도 해서 찜찜하기도 하네요.. 

과연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하늘길이 열리는 나라가 어디가 될지 궁금합니다. 

 

 

댓글